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독서

시간적, 경제적 자유를 위한 시간 관리, 롭 무어-레버리지

by sorksosepdjWJfrjsep 2023. 7. 19.

요즘 롭 무어(Rob Moore)의 레버리지라는 책을 매우 흥미롭게 읽고 있습니다. 

책을 직접 읽어보면서 내가 소홀히 보냈던 시간들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롭 무어의 레버리지라는 책을 통해서 깨닫게 된

효율적으로 시간 관리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일들을 단기간에 완수하기 위해서 효율적인 시간분배는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시간의 기회비용을 심도 있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 글은 개인적인 경험과 롭무어의 저서 '레버리지'와 신뢰성 있는 학술자료를 기반으로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원하며

행복을 꿈꾸는 분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참고 문헌- https://books.google.co.kr/books?hl=ko&lr=&id=gTKnCwAAQBAJ&oi=fnd&pg=PT8&dq=leverage+rob+moore&ots=dRMn4kVqA6&sig=N4cEmcAKO_e3GJUzPECvekOxTJg#v=onepage&q=leverage%20rob%20moore&f=false

목차


     

    '파레토의 법칙을 이용해라'

     

    책 '레버리지' 중-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는 이탈리아 국민의 약 20%가 부의 80%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부의 불평등한 분배를 나타내는 80/20 법칙을 만들어냈다.

    이를 미국의 경영 컨설턴트 조셉 주란(Joseph M. Juran)이 '파레토의 법칙'이라고 명명했다. 

    롭-무어-레버리지
    책 레버리지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몇 가지 들겠습니다.

     

    1. 고객의 20%가 수익의 80%를 창출한다. (가게의 단골들이 80%의 매출을 만들어낸다.) 

     

    2. 고객 불만의 80%가 고객의 20%에서 발생한다. 

     

    3. 가치의 80%가 노력의 20%에 의해 달성된다. 

     

    4. 부의 80%를 20%의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다. 

     

    5. 노동자들의 20%가 노동의 80%를 생산한다. 

     

     

    파레토의 법칙을 시간과 소득에 적용시키면 어떻게 될까요?

     

    이해를 돕기 위해 A라는 음식점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A라는 가게에는 월에 100명의 손님이 가게에 방문합니다. 

    그중 단골손님은 20명이며 평균적인 월매출은 100만 원입니다. 

     

    파레토의 법칙에 의하면, 단골손님 20명이 가게 매출의 80%인 80만 원을 지불합니다. 

    그리고 80%의 손님이 가게 매출의 20%인 20만 원을 지불합니다. 

     

    잠시 스크롤을 멈추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A가게의 사장님이라면 어떻게 해야 매출을 높일 수 있을까요? 

     

    위에 법칙을 따르면 매출을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단골손님 20명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 사람들이 매출의 80%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똑같이 시간과 소득에 적용하면, 내가 투자하는 시간의 20퍼센트가 80퍼센트의 소득을 만들어냅니다. 

    반대로 투자하는 시간의 80퍼센트는 20퍼센트의 소득 밖에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이 말은 내가 소득을 위해 투자하는 시간 80%를 줄여도 소득에서 20%의 손해만 본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소득의 80%를 창출하게 해 주는 20%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나머지 80%의 시간은 나의 소득을 더 올려줄 수 있는 일을 찾는 데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입니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저조한 결과가 나오는 일에 비효율적으로 시간을 버리지 말라는 겁니다. 

    그 시간에 우리는 더 큰 행복과 경제적 자유를 만들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다음은 여러분들이 시간을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될 문장입니다. 

    "하루를 소홀히 하는 자는 한 달을 소홀히 하고 몇 달을 소홀히 하는 자는 평생을 소홀히 한다."

    '복리의 법칙'

     

    책 '레버리지' 중- 연못에 떠 있는 수련도 마치 복리의 법칙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수련은 매일매일 전날 덮었던 수면의 두 배의 면적을 덮는다. 처음 며칠 동안은 별로 큰 면적을 차지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30일 후에는 연못이나 호수의 수면 전체를 덮는다. 29일째 되는 날 수면의 절반을 덮었다면, 절반을 덮는 데 전체 시간의 29/30가 걸리고, 나머지 절반을 덮는데 전체 시간의 1/30이 걸리는 것이다. 

    롭 무어(Rob Moore)- 결단, 지금 시작하고 나중에 완벽해져라. 차례, 책 구성

     

    한 마디로, 복리의 법칙이란 여러분들이 어떤 일을 더 오래 할수록

    최대의 이익과 가속도를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독서를 예시로 들겠습니다. 

    여러분들이 하루에 20페이지씩 독서를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첫날에는 20페이지를 정독하는 데에 30분이 걸리겠지만 다음 달이 되면 

    여러분들은 어쩌면 10분 만에 20페이지를 다 읽을 수 있게 될지도 모릅니다. 

    똑같은 양의 독서를 하는 거지만 여러분들이 투자해야 하는 시간은 더 줄어들게 됩니다. 

    더 적은 시간에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는 겁니다. 

     

    책 레버리지의 저자 롭 무어(Rob Moore)가 말하길 복리의 법칙에 따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을 가져야 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일을 하는 데에 막대한 양의 시간을 투자해야 할지 몰라도, 시간이 흐르면

    여러분들은 더 적은 시간을 투자하고 더 많은 양의 일들을 끝낼 수 있을 겁니다. 

     

    많은 사람들은 '최대의 일과 최소의 결과'가 '최소의 일과 최대의 결과'로 반전되는 효과가 나타나기 전에 포기한다. 

    책 레버리지를 독서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입니다. 

     

    내가 어떤 일을 잘하게 되기도 전에 포기하는 것은 낮은 자존감과 도전에 대한 두려움으로 직결됩니다. 

    어떤 일을 도전하고 또 포기하고 다시 도전하고 또 포기하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밖에 형용할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복리의 법칙을 삶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어떤 일에 능숙해지기 전까지 인내해야 합니다. 

    그것이 곧, 효과적인 시간 관리입니다. 

     

    아래에서는 제가 시간을 관리하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시간 일기 작성' 

     

    일기 작성은 제가 낭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올바르게 시간을 분배하는 데에 있어서

    저에게 큰 도움을 줬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들이 예상하는 일반적인 일기가 아닙니다. 

    내가 특정 일을 하는데에 투자한 시간들을 기록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일기 작성 예시입니다. 

     

    샤워- 10분 

    독서- 1시간

    운동- 1시간 

    업무- 8시간 

    수면- 7시간 

    낭비한 시간- 2시간-유튜브 시청

    휴식 시간- 30분 

     

    정말 매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매일매일 투자한 시간을 작성하고 나서 하는 일의 양은 유지하되 투자하는 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단, 수면 시간은 줄이지 마세요. 

    한마디로, 최소한의 시간을 투자하고 최대의 일을 하려고 노력하는 거죠.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를 실현할 수 있을지 고민하세요.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합니다.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다른 두 가지는 낭비한 시간과 기회비용입니다. 

    낭비한 시간을 기록한 뒤 원인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는지 

    대책을 세우는 시간을 가집니다. 

    또한, 내가 특정 행위를 하는 데에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생기는 기회비용에 대해서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기회비용을 고려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일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몇 주간 시간 일기를 작성해 본다면 여러분들의 시간이 예전보다

    훨씬 더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느끼게 될 겁니다. 

     

    하지만, 위에 언급했듯 복리의 법칙이 나타나기 전까지 굳게 인내해야 합니다. 

    며칠 작성하고 효과가 없다고 포기해서는 절대 무언가를 성취해 낼 수가 없습니다.


    오늘 저의 이야기가 여러분들께 유익했기를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위해서 시간 관리는 필수적입니다. 

    여러분들의 시간이 헛된 곳에 쓰이지 않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