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완벽주의의 모순, 그로부터 해방되는 방법

by sorksosepdjWJfrjsep 2023. 7. 17.

현대인들은 과도한 업무와 바쁜 일상으로 인해 

자기 자신을 잘 돌보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도 옛날에는 그런 부류의 사람들 중 하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 경험을 토대로

완벽주의에 대하여 글을 써 보겠습니다. 

 

현대인들은 타인의 일이나 행동, 표정에 과도하게 관심을 가집니다. 

하지만, 그에 반해 정작 자기 자신의 기분과 내면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나 자신에게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는 완벽주의에서 벗어나 우리의 자존감을 지켜야 합니다. 

본 포스팅은 신뢰성 있는 학술자료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완벽주의로 인하여 자존감이 낮아진 현대인들을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문헌-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44921

목차

     


    '완벽주의란?'

     

     

    완벽주의의 사전적 의미는 '모든 순간 완벽 또는 완전함을 추구하며, 결함을 배척하는 태도'입니다.

    이 의미를 표면적으로 이해하려 한다면, 매우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게 될 것입니다. 

     

    모든 순간에서 어떠한 결함 없이 모든 일을 완벽하게 완수해 내며

    자신에게서 어떠한 작은 단점조차도 찾을 수 없는 것만큼 인간에게 이상적인 것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완벽주의의 표면적인 사전적 의미만으로 이것을 이해하려 해서는 안 됩니다. 

    조금 더 심도 깊게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모순적이게도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은 결코 완벽해질 수가 없습니다. 

    완벽주의는 그 사람의 단점이 될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이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완벽주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합니다. 

    예시로, 많은 사람들이 면접장에서 자신이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면접장에게 자랑하듯 말하기도 합니다. 

    그 면접관이 완벽주의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하고 있다면 이것은 오히려 면접에서 감점 요소가 될 것입니다. 

    완벽주의에는 모순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결함을 배척하며 완전함을 추구한다고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나에게 오히려 단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는 완벽주의의 모순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완벽주의의 모순'

     

    여러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의 개인적인 경험을 예시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순수했던 학창 시절에 완벽주의의 사전적 의미를 알고 나서 

    "멋있다. 나도 이런 태도를 갖춰야겠다. 결함을 배척하며, 항상 완벽을 추구해야지."라는 결심을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정말 순수하게도, '완벽주의'라는 단어의 표면이 저에게 너무나 인상 깊었습니다. 

     

    그 후로는 학교에서 수업을 들을 때, 선생님의 말씀 단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 하며, 매 순간 집중하려고 했습니다. 

    학교에서 지정한 정규적인 쉬는 시간조차도 쉬지 않고 필기한 내용을 복습했습니다.

    완벽해지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학교
    학교

    몇 달간은 우월감과 성취감에 취해있었습니다. 

    나의 결함들이 사라져 가는 것 같았고 점점 더 완벽에 가까워지는 거 같았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너무나도 처참했습니다. 

    흔히 말하는 번아웃(Burn Out)이 왔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았기에 지쳐버렸던 겁니다. 

    다음 날에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충분히 회복이 되지 않았으며 시험날이 다가오면 완벽한 결과를 내야 된다는 생각에 압도당해서 오히려 무언가에 집중하기가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처럼 완벽주의는 잘 보이지 않는 모순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태도는 모든 순간에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어줄 수도 있습니다. 

    반면, 모든 순간에 완벽해지려 하다 보니 쉽게 지치게 되며 나에게 두려움을 심어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비현실적인 목표를 잡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현실적인 목표도 이뤄낼 수 있는 완벽한 사람이 되고 싶은 그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최선을 다해 노력할 테지만 너무나도 비현실적이었기에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겁니다.

     

    그러고는 완벽하지 못한 자신을 탓하고, 욕하고, 스스로 자존감을 깎아내리고, 비난하고, 자책하고, 포기하고, 도전이 두렵고,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이 생기고, 의욕을 잃고 결국에는 자기 자신을 잃게 될 겁니다. 

     

    위에서 말했듯, 완벽을 추구하려는 태도가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 되어줄 수도 있지만 부정적인 영향 또한 나에게 미칠 수 있습니다. 

     

    이제 여러분들은 끊임없이 완벽을 추구하는 것과 내면의 자존감을 지키는 것의 중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셨을 겁니다. 이 둘의 중점을 찾을 수 있게 된다면, 건강한 사고방식과 함께 남들보다 더 빠르게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겁니다.  아래에서 완벽주의 성향에서 벗어나 완벽을 추구하는 것과 자존감 또는 자아를 지키는 것의 중점을 찾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완벽주의로부터 해방되어 자존감을 지키는 방법'

     

    이 포스팅을 보고 있는 여러분들은 이제 완벽주의의 표면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정인 면을 모두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자존감을 지키기 위해서, 더 건강한 사고방식을 하기 위해서 대책을 세우고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려거든 본질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대책을 세우면 됩니다. 

    완벽주의의 본질은 완벽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완전함을 원하는 것의 반대는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영국의 유명한 자수성가이자 부동산 투자자 및 베스트셀러인 롭 무어(Rob Moore)는 100%의 완벽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완벽의 80% 정도를 추구하라고 합니다. 인간이 완벽해지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모두가 저마다의 결함, 즉, 부정적인 면을 가진 채로 살아갑니다. 우리는 부정적인 면을 제거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면을 통해 보완할 생각을 해야 합니다. 

    롭 무어(Rob Moore)- 결단, 지금 시작하고 나중에 완벽해져라. 차례, 책 구성

     

    완벽을 추구하는 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우리를 발전하게 해주는 것은 사실이니까요. 하지만 부정적인 면 또한 볼 수가 있어야 그에 적절한 대책 마련을 할 수가 있습니다. 

     

    부정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면을 보고, 긍정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면을 보아야지 우리는 더 건강하고 지혜로운 사고를 할 수 있습니다. 

     

    나 자신의 부정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단점과 실패는 결코 나쁜 것이 아닙니다. 

    가끔은, 단점이나 실패 따위들이 나를 힘들 게 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내가 더 발전할 수 있게 동기부여를 시켜주는 밑거름이 되어주기도 합니다.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완벽에 가까워지려고 노력하는 태도는 실제로 제가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한 마디로,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100%의 완벽을 원하는 것이 아닌 완벽의 80% 정도를 이루려고 노력해야 하며 

    불완전함 속에서 긍정적인 면을 찾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이 완벽주의에서 벗어나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자신을 돌보며 자존감을 높일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께 유익했기를 바랍니다. 

    앤드류 테이트(Andrew tate), 트리스탄 테이트(Tristan Tate), 당신이 진정 강해지길 원한다면. 동기부여 레드필

     

    앤드류 테이트(Andrew tate), 트리스탄 테이트(Tristan Tate), 당신이 진정 강해지길 원한다면. 동기부

    요즘 전 세계에서 전직 프로킥복싱 선수이자 사업가인 앤드류 테이트(Andrew tate)와 그의 동생인 트리스탄 테이트(Tristan Tate)가 많은 네티즌들에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들은 SNS에서도 적극적으로

    gotothefxxingym.tistory.com

     

     

     

    참고 문헌 1-https://namu.wiki/w/%EC%99%84%EB%B2%BD%EC%A3%BC%EC%9D%98

    참고 문헌 2-https://psycnet.apa.org/record/2002-02485-002

    참고 문헌 3-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844921